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네트워크4

Zero Copy(제로 카피, 무복사 기법)이란? 제로 카피(Zero Copy) 또는 무복사 기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복사할 때 CPU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데이터 복사 방식은 데이터를 여러 번 복사해야 하므로 CPU 사용량이 증가하고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로 카피 기술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여 CPU 사용량을 줄이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제로 카피(Zero Copy)의 작동 방식:일반적인 데이터 복사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메모리의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여러 번 복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는 먼저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복사되고, 다시 메모리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복사됩니다.제로 카피 기.. 2025. 3. 13.
[Network]트래픽 쉐이핑(Taffic Shaping) 표준 스위치와 분산 스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차이점은 표준 스위치 경우 아웃바운드, 분산 스위치 경우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구성 가능 기본적으로 기능은 사용 안됨  평균 대역폭 - 포트 전체에서 허용되는 초당 비트 수 피크 대역폭 - 트래픽 버스트를 보내거나 보내거나받을 때 포트를 통과 할 수있는 초당 최대 비트 수                                  - 이 설정 값이 버스트 보너스를 사용할 때마다 포트에서 사용하는 대역폭 사용버스트 크기 - 버스트에서 허용 할 최대 바이트 수                -  포트가 할당 된 모든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음                - 평균 대역폭보다 더 많은 대역폭이 필요할 때 마다 버스트 보너.. 2024. 8. 8.
네트워크 용어 정리(1)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상에서 연결된 컴퓨터들을 구분하기 위해 부여된 주소 대표적인 IP주소 체계로는 IPv4,IPv6가 있다. DNS(Domain Name System) IP 주소를 이해하기 쉬운 문자로 된 이름으로 변경해주는 시스템 Subnet Mask 클래스에서 호스트 부분을 다시 서브넷과 호스트로 구분하는 역할 IPv4의 경우 4개의 바이너리 8자리수로 이루어져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음. Gateway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출구 같은 네트워크상에 없는 주소와 통신하고자 할 때 나가는 통로 2024. 2. 6.
[Infrastructure]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IT 인프라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1. 인프라 설계 인프라의 목적에 맞게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과 조건들을 기준으로 정리한다. 2.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 작업은 기기의 운반과 조립, 장착, 설치, 설정, 동작 테스트, 부하 테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SI(System Intergration) - 기기를 들여온다. CE(Customer Engineer) - 하드웨어 관련 작업 SE(System Engineer) - 서버 스토리지 설정 NE(Network Engineer) - 네트워크 장비 설정 3. 인프라 운영 인프라는 24시간, 365일 내내 가동되어야 한다. 장애 대응 - 하드웨어 고장이나 급격한 액세스 증가에 대한 대책, 부적절한 권한 설정에 의한 .. 2019.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