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IT 인프라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1. 인프라 설계
인프라의 목적에 맞게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과 조건들을 기준으로 정리한다.
2.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 작업은 기기의 운반과 조립, 장착, 설치, 설정, 동작 테스트, 부하 테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SI(System Intergration) - 기기를 들여온다.
CE(Customer Engineer) - 하드웨어 관련 작업
SE(System Engineer) - 서버 스토리지 설정
NE(Network Engineer) - 네트워크 장비 설정
3. 인프라 운영
인프라는 24시간, 365일 내내 가동되어야 한다.
장애 대응 - 하드웨어 고장이나 급격한 액세스 증가에 대한 대책, 부적절한 권한 설정에 의한 액세스 불가능한 상황의 해소
수용량 관리 - 인프라 수용력에 따른 규모 조정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 - 장애의 원인이 인프라인지 아닌지 파악
-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
퍼실리티(Facility) - 건물, 시설, 설비 등을 의미한다. 퍼실리티에는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랙, 에어컨, 발전기, 변압기, 소화 설비 등
서버, 스토리지 -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
네트워크 -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
기술자 관점에서 보는 인프라 엔지니어
인프라 엔지니어는 요청된 과제에 대한 기술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답을 제안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하며,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단기간에 본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서버 하드웨어 - IA(Intel Architecture)서버, 엔터프라이즈 서버가 있다. 메인보드, CPU, 메모리, 디스크 , NIC, PSU와 같은 부속의 조합으로 구성
서버 운영체제 - 리눅스, 윈도우, 유닉스
스토리지 - 디스크의 대용량화, 플래시 디스크의 등장에 따른 고속화,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등을 배경으로 스토리지 가상화, 씬 프로비저닝, 중복 제거, 스냅샷 등 신기술이 등장. 각 기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적절한 스토리지를 선정해야 한다.
네트워크 설계와 구축 -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TCP/IP.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는 설계 단계부터 모든 각도에서 검토해야 한다.
네트워크 장비 - 네트워크 장비의 주된 역할은 통신의 교환.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를 파악. 네트워크 장비는 업체마다 다름에 유의
-
선정자로서의 인프라 엔지니어
프로젝트의 성질이나 기업문화 혹은 최종 결재권자의 사고방식 등을 고려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시스템 구성 - 어떤 시스템을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검토. 최소 구성, 이중화 구성, 데이터 영역 분리 구성
서버 사양 선정 - 서버 부품에서 사용할 CPU, 메모리, 디스크, RAID, NIC, PSU의 이중화 필요성, 보수 연수, 보수 레벨, 확장성, 물리적 크기 및 중량 등
네트워크 구성 - 랙에 몇개의 스위치를 설치할 것인가 / 각 스위치의 수용량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 채택할 업체 / 보증 기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별로 통신량을 정하고 이중화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선정 (오라클, SQL서버, MySQL 등) / 필요 용량 계산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물리적인 데이터 배치 결정한다.
운영시스템 - 시스템을 어떻게 감시하고 운영할 것인지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