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nfrastructure] 서버 / 정리 중

by 밍사원 2019. 12. 12.
반응형

@서버란?

'서버'란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하드웨어를 말한다.

서버는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인프라의 주축이 된다.

형태의 차이 - 랙 마운트형 서버 / 타워형 서버

서버에 탑재되는 다양한 부품의 종류

등급의 차이 - 엔트리 서버 / 미들 레인지 서버 / 하이엔드 서버

클라우드, 가상 서버 같은 물리 서버가 아닌 형태

 

 

@서버의 종류

랙 마운트형 서버 -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간다. 19인치 랙에 수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타워형 서버 - 사내 서버 룸에 설치되거나 사무실 또는 점포 등에 설치된다.

 

엔트리 서버 - 주로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이용, 보통 소켓 단위로 1~2개의 CPU에 탑재할 수 있는 서버

미들 레인지 서버 -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기간계 서버에서 이용, 대체로 소켓 단위로 4개 이상의 CPU를 탑재할 수 있으며, 하이엔드 서버에 속하지 않는 서버

하이엔드 서버 -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기간계 서버에서 이용, 대체로 소켓 단위로 수십 개 이상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서버

 

IA 서버 - 인텔이나 AMDㄷ 등 인텔 호환 CPU를 탑재하고 일반 컴퓨터와 같은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해 만들어진 서버를 말한다.

 

엔터프라이즈 서버 - 기간계에 사용되는 서버를 가리킨다.

 

 

 

@서버 선정

서버의 조건

 

서버 사양 결정 방법

중요한 시스템일 경우 : 실제 환경을 시험적으로 구축해 측정 결과를 보고 판단한다.

액세스 양이 판명되지 않을 경우 : 임시로 결정한 서버 사양의 기기를 현장에 투입해 실제 하드웨어 자원의 이용 상황을 측정한 다음, 서버와 서버의 부품을 늘리거나 줄인다.

서비스의 성질이 정해져 있을 경우 : 소거법으로 사양을 좁혀간다.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

서버의 수용량을 늘리는 접근 방식

스케일 아웃 : 서버의 성능이 부족해지면 서버의 수를 늘려서 수용량을 늘리는 방법, 부하분산이 쉬운 웹 서버의 경우

스케일 업 : 성능이 부족해지면 메모리의 증설 등 부품을 추가/교환하거나 상위 기종으로 교체해 서버 성능을 높이는 방법, 부하분산이 어려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업체를 선정

서버 사양을 결정하고 나면, 각 서버 업체로부터 견적을 받고 가격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업체를 선정한다.

 

 

 

 

 

 

 

@CPU

CPU는 연산을 대량으로 빠르게 처리하는 장치

 

성능과 발열, 소비 전력

최근에는 동작 주파수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억제하는 대신, 멀티코어나 멀티스레드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하나의 CPU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연산 개수를 늘려서 연산 능력을 향상한다.

 

CPU 용어

소켓 / 코어 / 스레드 / 동작 주파수 / 캐시 / 하이퍼스레딩 / 터보 부스트 기술

 

CPU 선정의 포인트

성능 / 가격 / 사용할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체계 / 소비 전력

 

인텔 CPU

 

 

 

 

 

 

@메모리

성능

DDR3 메모리의 종류

메모리 용어

메모리 표기 방법

메모리 삽입 방법

메모리 선정 포인트

 

 

 

 

디스크의 종류

SATA 하드디스크

 

SAS 하드디스크

 

FC 하드디스크

 

그 밖의 디스크

니어라인 하드디스크

SSD

엔터프라이즈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RAID

가상화

클라우드:IaaS

반응형